프로그래밍 언어68 [C언어] 형 변환, typedef 자료형변환 자동형변환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형 변환을 시켜주는 것 ① 정수 + 실수 or 실수 + 정수와 같은 산술 연산을 하는 경우 정수에서 실수로 자동형변환이 이루어진 것입니다. ② 대입 연산을 하는 경우 대입 연산자를 기준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자동형변환이 이루어진 것입니다. 하지만 위에 두 값이 데이터 손실이 이루어졌습니다. 또 다른 예를들어 위에보신 것처럼 double(실수 2.5)에서 int(정수 2)로, int(정수 12)에서 double(실수 12.000000)으로 자동형변환이 이루어진 것입니다. 여기서 문제는 int(4Byte)에서 double(8Byte)로 형 변환이 되었을 때는 작은형에서 큰형으로 변환된 것이어서 문제가 되지 않지만 큰형에서 작은형인 double(8Byte)에서 int.. 2017. 6. 13. [C언어] sizeof, unsigned / signed sizeof 연산자 소괄호에있는 자료형의 크기를 구하는 연산자 괄호 안에 사이즈를 구하고자 하는 변수이름이나 상수이름, 자료형의 이름을 적어주시면 됩니다. 변수의 종류 실수형 변수는 사이즈가 커진다고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커진다는 것이 아니라, 표현하는 소수점의 정확도가 높아진 것입니다. signed와 unsigned signed 우리가 일반적으로 char을 선언하면 저장 가능한 숫자 범위가 -128 ~ +127입니다. 이처럼 일반적인 자료형에는 (signed)라는 기호가 암묵적으로 포함되어있습니다. unsigned 정수형의 양수 범위를 두 배로 늘리는 자료형(0 이상의 값만 표현하는 자료형) 예를 들어 char형 변수는 -128 ~ +127까지 표현하는 값의 .. 2017. 6. 13. [C언어] 상수 (리터럴상수 / 심볼릭상수) 상수 어떤 상황에서도 변한지 않는 값을 의미한다. ( 중간에 값이 바뀔 염려가 없다.) (변수 : 값이 변한다. / 상수 : 값이 변하지 않는다.) ① 리터럴 상수 ( 문자 그대로 ) : 글자 그대로의 의미가 있어서 이름이 없는 상수 정수형 상수, 실수형 상수, 문자 상수, 문자열 상수 ② 심볼릭 상수 ( 기호화 ) : 상수를 기호화하여 변수처럼 이름이 있는 상수 const키워드 ex) const int NUM = 10; const double PI = 3.14; #define문 ex) #define PI 3.14 #define NUM 100 #은 전처리기여서 main 안에 들어가기 전에 프로그램을 돌리는 것입니다. (=전처리기야 정의해줘) 그래서 #define문은 main{ }안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.. 2017. 6. 12. [C언어] scanf( )함수 scanf( ) 함수 scanf( )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활용하는 방법 → 입력 대기상태로 만들고 사용자가 값을 입력할 때까지 계속 기다림 기본 구조 → scanf("입력서식문자", &변수); # practice ① → 변수의 값을 선언만 한 이유는 나중에 사용자에게 값을 입력받은 값으로 초기화할 것이기 때문입니다. ② ③ → 한 번에 여러 정수를 입력받을 때는 사용자가 구분을 하기 위해 띄어쓰기를 해도 됩니다. printf( )함수와 scanf( )함수 비교 printf( ) → 모니터에 데이터 출력하기(출력 서식 필요) scanf( ) → 키보드로 데이터 입력받기(입력 서식 필요) * 입력 서식 문자 2017. 6. 7. 이전 1 ··· 13 14 15 16 17 다음